돌파감염이라는것을 아시나요?
돌파감염이라는것은 특정 병원체에 대한 백신 접종 횟수를 마치고,
2주간의 항체 생성기간이 지난 후에도 감염되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간단히 말해 백신이 목표로 설계된 병원체에 대한 면역력을 제공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것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2차까지 마친 사람이 면역이 형성되는
14일이 경과하고나서도 양성으로 확진되는 사례가 이에 해당하며,
이러한 돌파 감염은 변이 확산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지표 사례로 여겨지는데,
기존 백신을 우회하는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백신 최종 접종자가
새로운 감염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2021년 4월 26일 기준으로 9500만 명 이상이
2차 접종까지 마쳤는데, 돌파 감염 사례가 9245명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 의학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은 2021년 4월 21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400여 명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고,
이처럼 예방 백신을 접종했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이유는
백신의 예방률이 100%로 완벽하지 않기 때문인데, NEJM에 따르면 돌파 감염이
일어난 2명 모두 경미한 증상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2020년 전 세계로 확산되며 장기적인 팬데믹 사태로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을 위해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미국과 독일의 화이자, 미국의 얀센, 미국의 모더나,
미국의 노바벡스 등을 비롯해 러시아의 스푸트니크V,
중국의 시노팜과 시노백 등의 백신이 개발돼 접종이 이뤄지고 있으며,
돌파 감염은 볼거리, 수두와 인플루엔자 등 다양한 질병에서
예방 접종을 한 개인에게서 확인되었는데요.
돌파 감염의 특성은 바이러스 자체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흔히 예방 접종을 받은 개인은 감염되더라도 가벼운 증상을 일으키고,
자연적으로 감염된 경우보다 치유 기간이 짧으며,
돌파 감염의 원인으로는 여러가지가 존재하겠지만,
백신의 부적절한 투여나 보관, 백신과 관련한 잘못된 프로세스,
병원체의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나 항체 차단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병원체의 돌연변이가 원인인 경우는 주로 병원체 감염의 세대가 쌓이면서
일어나고, 백신과 관련한 잘못된 프로세스로는 백신의 잘못된 보관,
과다 및 과소 투여, 투여 간격 미준수 등 여러가지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리고 백신 접종을 정상적으로 완료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그 약효가 떨어지므로, 돌파감염이 발생할 가능성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높아지고,
이런 이유로 백신은 100% 효과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의 효능을 불신하는 백신 반대 운동이나,
거꾸로 백신의 효능을 과신하는 백신 만능론 역시 돌파감염과 연관성이 있으며,
백신을 접종하고서도 마스크 착용과 안전수칙 같은 백신 대체를
계속 준수하라는것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인플루엔자 백신은 58%의 접종자에게
인플루엔자에 대한 면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홍역 백신은 백신을 접종한 어린이 중 2%에게 면역력을 제공하지 못하지만,
집단 면역이 존재한다면, 백신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개인도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막기 때문에
집단 면역은 한 집단의 감염자 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21년 4월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을 완료한 7천 5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 중 5,814명이
코로나19에 돌파 감염되어 74명이 사망했다고 보고했으며,
백신을 맞은 상태에서는 돌파감염이 일어나더라도 그 중증도가 낮고
치료 및 회복에 걸리는 시간이 짧으며, 2020년 12월부터 2021년 4월까지
미국 6개 주, 8개 의료기관에서 백신을 접종한 의료종사자 3,179명과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796명의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보고받은 결과를 소개하고 있는데,
백신 접종 시 감염율뿐만 아니라 증상을 겪는 기간과 발열 증상과
바이러스 활성도가 훨씬 낮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치료 및 회복에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것은 그만큼 바이러스 입장에서
재전파 가능 시간이 짧다는 것을 의미하는것으로, 자신의 돌파감염 피해는 물론이고
2차 돌파감염 가능성까지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집단면역이 바로
그 재전파 차단에 염두를 둔 개념이며, 이러한 돌파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은 사람이 백신을 주기적으로 맞아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2021.08.10 - [생활 정보] -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체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체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로 인한 국가보상체계, 제도가 존재한다는거 알고 계셨나요? 예방접종 후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이상 반응에 대해서 국가가 안전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예방접종피해 국가
kbs25hhl03.tistory.com